생각 한켠 죽을 만큼 힘들어도 웃으라는 말, 그건 과학이었다
글|김종수 / 바이오메디컬공학 박사 “행복하니까 웃는 게 아니라, 웃으니까 행복한 거다.”언뜻 들으면 낭만적인 말 같지만, 이 말에는 과학적 실마리가 숨어 있다.억지로라도 웃어보라는 조언이 단지 위로의 말이 아닌, 뇌를 자극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도 있다면? 매년 3월 셋째 주는 ‘세계 뇌 주간’이다.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는 이 기간 동안 뇌 과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캠페인과 강연이 진행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일상으로 스며든 요즘, 인간의 뇌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은 일상 속에서 우리가 접하는 말들과 행동을 뇌 과학의 관점에서 다시 들여다보는 ‘뇌 여행’의 시작점이 되기를 바란다. 웃으면 정말 행복해질까?죽을 만큼 힘든 순간에도 “그래도 웃어보자”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겉으로는 정신 승리처럼 들릴지 몰라도, 과학은 이 말에 고개를 끄덕인다. 뇌는 웃음을 감지하면 실제로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람들의 감정과 표정을 연구했다. 그 결과, 인간은 문화와 무관하게 기쁨, 분노, 놀람, 혐오, 두려움, 슬픔과 같은 기본 감정을 공통된 표정으로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