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환경

대추 과실 반점, 해충 아닌 세균·곰팡이, 충북농기원 방제 당부

교차 살포와 환기만 지켜도 피해↓…충북농업기술원, 대응 매뉴얼 제작

 

미담타임스 김준완 기자 | 충북농업기술원은 장마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확산되는 대추 과실 ‘검은 점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방제약제의 적기 살포와 하우스 내 습도 조절을 당부했다.

 

대추 과실 검은 점 증상은 7월 말부터 본격 발생해 수확량의 절반 가까이를 감염시킬 수 있는 병해로, 최근 대추 주산지에서 해마다 피해가 늘고 있다. 초기에는 노린재 등 해충 피해로 오인되기 쉬우나, 연구 결과 과실 표피의 과점을 통해 세균이나 곰팡이가 침입해 생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균은 과원별 재배 환경과 약제 살포 이력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등록 약제로 방제가 가능하다. 특히 습도가 90%를 넘는 조건에서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지므로, 장마철에는 비가 그친 틈을 이용해 선제적으로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도는 세균성 병해에는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옥솔린산 수화제를 2주 간격으로 교차 살포하고, 곰팡이성 병해는 발생 전 플루아지남·만코제브 수화제 등 보호살균제를, 발생 후에는 디페노코나졸·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수화제 등 침투성 약제를 사용하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이때 약제 내성을 막기 위해 계통이 다른 약제를 교차 살포해야 한다.

 

실제 지난해 실증시험에서는 6월 중순부터 방제를 시작한 농가의 증상 발생률이 75% 가까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충북농업기술원은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농가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웹툰을 제작·보급했으며, 올해는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방제 매뉴얼도 보급할 계획이다.

 

도 농업기술원 박희순 팀장은 “연구 결과 6월 중순부터 세균과 곰팡이 방제약제를 2주 간격으로 살포했을 때 검은 점 증상 발생률이 75% 가까이 감소했다”라며, “적기 방제와 함께 환풍기 가동, 천창 개폐 등 하우스 내 습도 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피해 예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