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담타임스 정주환 기자 | 고양특례시의회 김운남 의장은 마을버스 업계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 논의를 주도하며, 업계 전반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고자 실질적인 해법 마련에 나섰다.
이번 논의는 숙련된 운전 인력의 외부 유출을 막고, 고양시 교통서비스의 안정성을 지키기 위한 대응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인근 지자체보다 낮은 처우로 인해 인력이 다른 지역으로 이탈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시 차원의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문제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현재 고양시는 관내 18개 마을버스 업체 중 재정 여건이 열악한 업체를 중심으로 재정지원 예산을 편성해 왔다. 그러나 경영상 비교적 안정적인 일부 업체들 역시 인건비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마을버스 업계 전반에 대한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마을버스 업체 대표들이 의회를 찾아 현장의 어려움을 공유했고, 김운남 의장은 집행부 버스정책과와 함께 자리를 마련해 업계와 시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는 양측이 각자의 입장을 개진하며 접점을 찾기 위한 진지한 논의가 오갔다.
김운남 의장은 타 지자체 사례를 면밀히 분석해 고양시에 적합한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집행부에 적극적인 검토를 요청했다. 실제로 경기 용인시는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을 위해 장기 근속자에게 최대 120만 원의 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서울 성동구는 마을버스 운전기사에게 월 30만 원의 ‘필수노동 수당’을 지원하고 있다.
김운남 의장은 “운수종사자의 인건비는 필수 비용이며, 이를 해결하는 것은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며, “적자 여부와 관계없이 마을버스 업계 전체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상생을 위한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고양특례시의회는 앞으로도 현장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교통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시민과 운수업계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교통 정책 실현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